Peter Pan Chapter 1 문장으로 배우는 문법 2가지 (강조구문, 명사절 if, whether)
명사절 if / whether 정리
I don’t know whether you have ever seen a map of a person’s mind.
여기서 whether는 명사절로 쓰이며, "그랬는지 아닌지"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.
그럼 if / whether는 어떻게 다르고, 어떤 자리에 쓸 수 있을까요?
명사절로 쓰이는 if / whether
| 위치 | 사용 가능 여부 | 
|---|---|
| 주어 | whether ✅ / if ❌ | 
| 목적어 | whether / if 둘 다 가능 ✅ | 
| 보어 | whether ✅ / if 보통 ❌ | 
- 
Whether she comes or not is not important. (주어)
 - 
I don’t know if she will come. (목적어)
 - 
The question is whether he lied. (보어)
 
🚫 if를 쓸 수 없는 경우
- 
전치사 뒤에는 whether만 가능
It depends on whether he agrees.
❌ It depends on if he agrees. - 
to부정사 앞
I’m not sure whether to go or stay.
❌ I’m not sure if to go. - 
or not 바로 앞 병렬 구문에서 선택
I'm not sure whether or not he'll attend.
❌I'm not sure if or not he'll attend.
 
- I'm not sure if he'll attend or not.
 
🧠 That과의 구분 TIP
| 구분 | whether/if | that | 
|---|---|---|
| 의미 | “~인지 아닌지” | “~라는 것” | 
| 의문 포함 | 있음 | 없음 | 
| 예문 | I don’t know whether he’s coming. | I know that he is coming. | 
강조 구문 do/did + It ~ that 강조 vs 가주어 vs 관계대명사 구분
✨ 문장 1:
I do believe it is that Peter again!
여기서 do believe는 강조용 조동사로 강하게 "정말 믿는다"는 느낌을 주는 표현입니다.
| 원래 문장 | 강조된 문장 | 
|---|---|
| I believe it is Peter again. | I do believe it is Peter again. | 
✨ 문장 2:
The dream by itself would have been a trifle, but while she was dreaming, the window of the nursery blew open, and a boy did drop on the floor.
did drop 역시 강조입니다. "정말 떨어졌다!"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표현이죠.
✅ It ~ that 강조구문 vs 가주어 vs 관계대명사 that
| 구문 | 설명 | 예문 | 
|---|---|---|
| It ~ that 강조 | 문장의 일부를 강조 | It was Peter that caused the noise. | 
| It ~ that 가주어 진주어 | 진짜 주어를 that절로 미룸 | It is obvious that he lied. | 
| 관계대명사 that | 앞의 명사를 수식 | The boy that I saw was Peter. | 
🧩 구별 팁:
- 
강조 구문: It is/was + 강조할 부분(주어, 목적어, 부사구) + that
 
(에밀리가 어제 친구에게 편지를 썼다.)
- 
가주어: It is/was + 형용사 + that절
 - 
관계대명사: 선행사 + that + 불완전한 절
 
복습 – 조동사 + have p.p.
지난 피터팬 문장에서 복습하기
Chapter 1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었습니다:
She must have been dreaming.
The dream by itself would have been a trifle...
이 표현들은 모두 조동사 + have + p.p. 구조입니다.
이 구조는 과거 상황에 대한 추측, 후회, 가능성, 가정을 나타냅니다.
📌 조동사 have p.p. 요약표
| 조동사 | 의미 | 예문 | 
|---|---|---|
| must have p.p. | ~했음에 틀림없다 | She must have left early. | 
| could have p.p. | ~할 수도 있었지만 못 함 | He could have won the race. | 
| might have p.p. | ~했을지도 모른다 | It might have rained. | 
| should have p.p. | ~했어야 했다 | You should have called me. | 
| would have p.p. | ~했을 텐데 | I would have helped you. | 
문장 하나로도 배울 수 있는 문법은 정말 많습니다.
Peter Pan처럼 친숙한 원서를 읽으며 문장 구조와 문법 요소를 함께 익히면,단순한 암기보다 문맥 속에서 체화된 영어 실력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
